정보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비용을 줄이고 효율적으로 전송을 하기 위한 방법으로 하나의 회선에 복수 개의 시스템을 연결하거나 몇 개의 회선을 공유하는 방식 등이 있다물리적인 매체(전송 회선)와 전송 장치(모뎀)에 연결하는 통신 회선의 수에 따라 2선식과 4선식으로 분류된다.


2선식(2W, 2Wire)은 TX+와 RX+, TX-와 RX-를 쌍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모든 디바이스가 마스터가 되는 반∙이중 통신을 베이스로 통신하는 방법이다아래의 그림처럼 TX+와 RX+를 상대방의 TX+와 RX+에 연결을 하고 반대로 선도 하나의 선으로 두개의 라인에 결선을 합니다.





2선식 통신 방식은 DATA+선과 DATA-선을 2가닥의 전선(Twisted Pair)을 사용하여 통신하며 모든 디바이스가 마스터(master)로서 멀티 마스터 구조로 운영된다이 통신 라인을 통하여 송신 및 수신이 이루어지며 Half Duplex 방식으로 운영된다모든 디바이스는 자신이 보내고 싶을 때 데이터를 송신하게 되며 데이터 충돌(Data Collision)을 막기 위해 Echo Mode 또는 Non-echo Mode(ACK)를 사용한다하지만 2선 방식은 송∙수신 되는 데이터가 충돌(Data Collision)할 수 있으며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양방향 통신에 제한이 있다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나온 방식이 4선식 방식이다.

 

4선식(4W, 4Wire)은 신호선과 공통 접지선이 4개의 선으로 구성되며 양방향 통신의 경우에 상∙하 전송시 별도의 전송로를 사용한다아래의 표처럼 마스터와 슬래이브간에 결선을 합니다.

 

마스터

슬래이브

RX+

TX+

TX+

RX+

RX-

TX-

TX-

RX-

 

4선식 방식은 2선식 방식이 가지는 단점을 보완하고 반∙이중 통신이 아닌 전∙이중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합니다.

 




(1) 통신 회선의 접속 방식

컴퓨터와 단말기를 연결하는 방식에는 점--점 회선 방식다지점 회선 방식집중 회선 방식다중 회선 방식이 있다.

 

1) --점 회선 방식(point to point line, peer to peer)

--점 회선(point to point line, peer to peer) 구성은 컴퓨터 시스템과 단말기를 전용 회선으로 직접 연결하는 형식이다단말기를 여러 대 연결할 경우에도 일대일 연결이므로 언제든지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이 방식은 전화 회선 구성에도 이용되는데 교환기를 이용하여 공중회선을 사용할 수 있다응답 속도가 빠르므로 고속 처리에 이용된다.

 


그림  48--점 회선 방식

            

             특징을 다시 한번 정리해보자.

① 컴퓨터 시스템과 단말기를 전용회선으로 직접 연결한다.

② 단말기를 여러 대 연결할 때도 일--일로 연결하므로 언제든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③ 이 방식은 전화회선을 구성하는 데도 이용하는데교환기를 이용하여 공중회선을 사용할 수 있다.

④ 응답속도가 빨라 주로 고속 처리에 이용된다.

 

그림  49--점 회선방식

 

 

 

1) 다지점 회선 방식(multipoint line, multidrop line)

다지점 회선(multipoint line, multidrop line)은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된 한 개의 전송 회선에 여러 대의 단말기를 연결한 형식이다여기서 사용되는 전송 회선은 대부분 한 개의 전용 회선이므로 한 시점에는 한 단말기만이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반면에 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경우에는 여러 대의 단말기가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와 컴퓨터의 통신로를 구성하는 방법에는 폴링(polling)과 선택(selection), 경쟁(contention)이 있다.

폴링(polling)은 단말기에서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 이용된다이 방법에서는 컴퓨터 감시 프로그램 쪽에서 신호를 보내 송신할 데이터의 유무를 주기적으로 검사한다.

선택(selection)은 컴퓨터가 특정 단말기를 지정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 이용되는데특정 단말기를 지정하는 제어 문자를 데이터의 앞에 포함시켜 데이터를 전송한다물론 한 개의 데이터를 여러 대의 단말기에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경제적이며 회선을 짧은 시간 동안 운영하므로 주로 조회 처리를 위한 방법 등에 이용된다.

경쟁(contention)은 단말 장치들이 서로 경쟁하여 회선에 접근하며 가장 간단하며 비효율적이다.

 


그림  50다지점 회선방식

 

         특징을 다시 한번 정리해보자.

①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된 전송 회선 1개에 단말기를 여러 대 연결한다.

② 여기서 사용하는 전송 회선은 대부분 전용회선 1개라 한 시점에서는 단말기 하나만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③ 반면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때는 단말기 여러 대가 동시에 수신한다.

 

그림  51다지점 회선방식

 

2) 집선 회선 방식(concentration line)

집선 회선(line concentration line) 방식은 일정 지역내의 중심에 집선 장치를 설치하고 여기에 여러 대의 단말기를 연결하는 방식이다집선 장치는 단말기에서 저속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모아서 컴퓨터에 고속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컴퓨터와 집선 장치 사이는 고속의 단일 회선을 연결하거나 단말기의 수보다 적게 연결할 수 있다이 방식은 통신 회선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다지점 회선 방식처럼 단말기의 회선 사용률이 낮을 경우에 적합하다.

 

         특징을 다시 한번 정리해보자.

① 일정한 지역 내에 있는 중심 부분에 집선 장치를 설치한 후 여기에 단말기를 여러 대 연결하는 방식이다.

② 컴퓨터와 집선 장치 사이는 속도가 빠른 단일회선으로 연결하거나 연결한 단말기 수보다 적은 수로 연결할 수 있다.

③ 이 방식은 통신회선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다지점 회선 방식처럼 단말기의 회선 사용률이 낮을 때 적합하다.

 

그림  52집선 회선 방식

 

 

3) 회선 다중 방식(multiplexing line)

회선 다중(multiplexing line) 방식은 집선 회선 방식과 유사하다일정 지역 내에 있는 여러 대의 단말기를 지역의 중심에 설치된 다중화 장치(multiplexer)에 연결하고다중화 장치와 컴퓨터 사이는 대용량 회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이다다중화 통신 회선은 회선 사용률이 비교적 높은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에도 적용할 수 있다.

 

특징을 다시 한번 정리해보자.

① 집선회선 방식과 사용 방법은 비슷하다

② 일정한 지역에 있는 단말기 여러 대를 그 지역의 중심 부분에 설치된 다중화 장치(Multiplexer)에 연결하고 다중화 장치와 컴퓨터 사이는 대용량 회선으로 연결한다.

③ 다중화 통신회선 방식은 회선 사용률이 비교적 높은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림  53회선 다중 방식

 

 

(2) 통신 회선의 이용 방식

데이터가 전송되는 전송 회선을 이용하는 방식에 따라 단일(simple) 방식반∙이중(half duplex) 방식전∙이중(full duplex) 방식이 있다.

 



4) 단일 방식(simplex)

단일(simplex) 방식은 데이터를 한쪽 방향으로만 전송할 수 있는데 주로 단말기에서 컴퓨터 방향으로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반대 방향의 경우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5) 반∙이중 방식(half duplex)

반∙이중(half duplex) 방식은 양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으나 동시에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는 없고거래 지향성 시스템(transaction oriented system)에서 주로 볼 수 있다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입력할 동안 컴퓨터에서 단말기로 데이터를 보낼 수 없고 그 반대의 경우도 성립한다.

 

6) 전∙이중 방식(half duplex)

전∙이중(full duplex) 방식은 데이터를 동시에 양 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어 고속 처리에 적합하다.

 

전송 선로를 이용하는 세 가지 방식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3) 데이터 전송 방식

데이터 전송 방식에는 데이터를 보내는 방법에 따라 직렬 전송과 병렬 전송송∙수신측 간의 시간적 위치에 따라 동기식과 비동기식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림  54데이터 전송방식


 

컴퓨터는 정보를 전송할 때 1비트씩이 아니라 1바이트 또는 그 정수배의 단위로 전송한다이 때 1바이트를 하나의 회선에 분해하여 전송하는 것을 직렬 전송이라하고복수 개의 회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병렬 전송이라 한다.

 

1) 직렬 전송

직렬전송(serial transmission)은 데이터의 최소 요소인 한 문자를 구성하는 각 비트가 하나의 전송 선로를 통하여 차례로 전송되는 방식이다송∙수신측간에 1개의 전송 회선으로 통신할 수 있어 대부분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되고 있다.

 


그림  55직렬 전송

 

직렬 전송은 하나의 회선으로 순차적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고송신 시에는 문자열을 비트열로 바꾸는 병렬/직렬 변환기가 필요하고 반대로 수신 시에는 비트열을 문자열로 바꾸는 직렬/병렬 변환기가 필요하다하나의 전송로만 사용하므로 설치가 쉽고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대표적인 사용 예로는 RS-232C 통신 등이 있다.

 

 

2) 병렬 전송

병렬 전송(parallel transmission)은 한 문자를 동시에 전송 선로를 통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컴퓨터와 단말기 또는 DTE와 DCE간의 거리가 멀면 전송 선로의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지만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도 가진다대표적인 사용 예로는 컴퓨터와 하드 디스크의 연결 등을 들 수 있다.

 


그림  56병렬 전송

 

데이터의 정확한 송·수신을 위해서는 동기가 맞아야 한다송신 측은 데이터를 한 번에 1비트씩 전송하므로 수신 측은 수신된 비트 열에서 한 글자 또는 블록의 시작과 끝을 알아야 한다따라서 송∙수신 측은 각 비트의 전송 율과 전송 시간과 간격 등에 관한 약속을 정해야 한다.

 

 

3) 비동기식 전송

비동기식 전송(asynchronous transmission)이란 동기식 전송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가 아니다블록 단위가 아닌 글자 단위로 동기 정보를 부여해서 보내는 방식이다시작·정지(start-stop) 전송이라고도 하며 한 번에 한 글자씩 주고 받는다.

 

그림  57비동기식 전송방식

 

 

각 글자의 시작 비트(start bit)는 1비트로 구성되며 값은 0을 가진다다음은 보낼 정보를 가지는 데이터 비트(data bit)열로써 5~8비트로 구성된다그 다음으로는 전송 되는 문자가 정상적인지를 점검하는 패리티 비트(parity bit) 1비트가 온다마지막으로 정지 비트(stop bit)가 오며 1비트, 1.5비트 또는 2비트중 하나를 사용한다비동기식으로 문자를 전송하기 때문에 문자와 문자 사이에는 일정치 않는 유휴시간이 있을수 있다.

 

4) 동기식 전송

동기식 전송(synchronous transmission)은 데이터를 글자가 아닌 블록 단위로 전송한다즉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에 미리 정해진 숫자 만큼의 문자열을 한 묶음으로 만들어 일시에 전송한다.

 

그림  58동기식 전송방식

 

문자 동기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블록 앞에 특정 동기 문자인 SYN(00010110)을 붙여 동기를 맞추고 실제 데이터 블록의 앞에는 STX(0010000), 뒤에는 ETX(0011000)가 추가되어 전송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구별한다.

 


그림  59문자 동기식 전송방식

 

비트 동기 방식은 전송 단위를 비트 묶음으로 보고비트 블록의 처음과 끝을 표시하는 특별한 비트인 플래그 패턴을 추가해 전송한다비트 동기 방식의 대표적인 예는 HDLC(High level Data Link Control)라는 프레임 동기 방식으로 플래그 비트(01111110)를 사용해 데이터의 처음과 끝을 구분한다.

 


그림  60비트 동기식 전송방식

 

 

(4) 캐스팅 모드의 전송 방식

캐스팅 모드(casting mode)는 통신에 참여하는 송신자와 수신자의 수를 의미한다캐스팅 모드에는 유니캐스트(unicast),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멀티캐스트(multicast) 및 애니캐스트(anycast) 등 여러 종류가 있다.

 


그림  61캐스팅 모드의 전송 방식

 

1) 유니캐스트

유니캐스트(unicast)는 정보를 송수신할 때 송신 노드와 수신 노드가 각각 하나인 경우이다.

 

2) 브로드캐스트

브로드캐스트(broadcast)는 하나의 송신 노드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수신 가능 노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이다라디오나 TV 통신이 대표적인 예다.

 

3) 멀티캐스트

멀티캐스트(multicast)는 하나의 송신 노드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수신 노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이다이때 송신 노드는 수신될 노드를 미리 정한다전자우편 서비스를 할 때 주소록을 미리 등록하여 보내는 방식이 멀티캐스트의 대표적인 예이다.

 

 

4) 애니캐스트

애니캐스트(anycast)는 송신 노드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수신 가능 노드 중에서 한 노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이다몇 대의 프린터 서버가 연결된 네트워크에서 송신 노드가 특정 수신 노드인 프린터 서버를 지정하지 않고 출력 서버에 출력하라는 명령을 주어도 프린트를 수행하고 있는 프린터 서버를 피해 다른 프린터 서버에서 출력할 수 있는 방식이다.

'정보처리기사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전송제어 방식  (0) 2017.08.02
09. 정보 전송의 다중화  (0) 2017.08.02
07. 디지털신호  (0) 2017.08.02
06. 아날로그 신호  (0) 2017.08.02
05. DTE/DCE 접속 규격  (0) 2017.08.02





디지털 신호는 이산적인 신호로물리량을 유한의 숫자로 표현하는 것이다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하기 위해서는 신호뿐만 아니라 시간에 대해서도 디지털화해야 한다이때 디지털 주파수 Hz는 아날로그 주파수와 구별해 사용한다.


예를 들면전화선을 사용할 경우에 3,200Hz의 아날로그 신호를 가지고 있지만, 3,200Hz의 디지털 신호는 갖고 있지 않다. 3200Hz의 디지털 신호는 1을 의미하는 5V와 0을 의미하는 0V가 1초 동안에 3,200번 반복하는 펄스(pulse)를 의미한다.


 

 

그림  43디지털 신호

 

1) 비트 간격(Bit Interval)

하나의 단일 비트를 전송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으로써 비트율의 역수이다, 1/비트율이다.

 

2) 비트율(Bit Rate)

1초 동안 전송되는 비트 수(bps: bit per second)

 

문제디지털 신호가 2,000bps 의 비트율 비트 간격은 얼마인가?

비트간격: 1/ 비트율 = 1/2,000bps = 0.000500bps = 0.000500 * 106 s = 500 s

 

3) 비트간격과 비트율

주기 대신 비트 간격주파수 대신 비트율을 사용한다.


 

그림  44비트간격과 비트율

 

 

4) 데이터 전송률의 한계

① 데이터 전송률의 세 요소

• 가역 대역폭

• 사용 가능한 신호 준위

• 채널의 품질(잡음의 정도)

 

② 데이터 전송률을 계산하는 두 가지 이론적 수식

• 나이퀴스트 수식(Nyquist bit rate) : 잡음이 없는 채널에서 사용

• 샤논 수식(Shannon capacity) : 잡음이 있는 채널에서 사용

 


5) 나이퀴스트 전송률(Nyquist bit rate) 과 사논 수식(Shannon capacity)

① 나이퀴스트 전송률(Nyquist bit rate)

• 잡음이 없는 채널의 경우 사용

• 대역폭은 채널의 대역폭, L은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 사용한 신호 준위의 개수전송률은 초당 비트수라고 할 때

전송률 = 2 × 대역폭 × log2L

• 두 개의 신호 준위를 갖는 신호를 전송하는 3,000Hz의 대역폭을 갖는 무 잡음 채널이 있다최대 전송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전송률 = 2 × 3,000Hz × log22 = 6,000bps

• 네 개의 신호 준위(각 준위는 2비트를 나타낸다)를 사용하는 신호를 위의 예제와 동일한 채널을 사용하여 보낸다고 하자최대 전송률은 다음과 같다.

전송률 = 2 × 3,000Hz × log24 = 12,000bps

 


② 샤논 용량(Shannon capacity)

• 잡음이 있는 채널에서의 최대 전송률을 결정하는 수식이다.

• 대역폭은 채널의 대역폭, SNR은 신호에 대한 잡음 비율용량은 bps 단위의 채널 용량이라고 하면

용량 대역폭 × log2(1+SNR)

 

• 신호 대 잡음의 비율 값이 거의 0인 잡음에 가까운 채널을 생각해보자잡음이 너무 강해서 신호가 약해진다이 채널에 대한 용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C = 대역폭 × log2(1+SNR) = 대역폭 × log2(1+0) = 대역폭 × log2(1) = 대역폭 × 0 = 0

 

채널의 용량은 0이다대역폭은 고려되지 않았다이 채널로는 어떤 데이터도 보낼 수 없다.

 

• 일반 전화선의 이론적인 최고 데이터 전송률을 계산할 수 있다전화선은 일반적으로 3,000Hz(300Hz에서 3,300Hz)의 대역폭을 갖는다신호 대 잡음의 비율이 보통 3,162(35dB)이다이 채널에 대한 용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C = 대역폭 × log2(1+SNR) = 3,000 × log2(1+3,162) = 3,000 × 11.62 = 34,860bps

 

이는 전화선의 최대 비트율이 34,860bps임을 의미한다.

'정보처리기사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 정보 전송의 다중화  (0) 2017.08.02
08. 정보 전송 방식  (0) 2017.08.02
06. 아날로그 신호  (0) 2017.08.02
05. DTE/DCE 접속 규격  (0) 2017.08.02
04. 정보통신의 구성요소  (0) 2017.08.02





정보가 전송되기 위해서는 전자기 신호로 변환되어야 한다데이터는 아날로그나 디지털이 될 수 있다여러 전압 값을 가지면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신호를 아날로그(analog) 신호라 하고미리 정해진 전압의 값(유한 개)만 갖는 신호를 디지털(digital) 신호라 한다데이터 통신에서는 흔히 아날로그는 주기신호를 사용하거나 디지털 신호는 비주기신호를 사용한다.


 


그림  34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

 


(1) 아날로그 신호

자연계에 포함되어 있는 연속적인 파형인 아날로그 신호는 주기신호와 비 주기신호로 분류할 수 있다주기 신호는 다시 정현파와 비 정현파로 분류할 수 있다비 정현파에는 계단파직선파삼각파 등이 있는데대표적인 예가 컴퓨터 내부의 클록(Clock) 파형이다.


 

그림  35아날로그신호


 

1) 주기 아날로그 신호

① 연속적으로 반복된 패턴으로 구성된다.

② 사이클(cycle) – 하나의 완성된 패턴




그림 36주기 신호

 



2) 비주기신호

① 시간에 따라 반복된 패턴이나 사이클이 없이 항상 변한다그래서 신호는 반복된 패턴이 없다.



그림 37비주기신호


 

3) 정현파의 3가지 특성

정현파(싸인파, sine wave)는 아날로그 주기신호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다. 3가지 특성으로는 진폭(amplitude), 주파수(frequency), 위상(phase)이 있으며여기에 연관된 지식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① 진폭(amplitude)

• 신호의 크기나 또는 세기를 나타내며 단위는 V(volt, 볼트)이다예를 들면 음성의 크기가 진폭이다.

• 신호의 높이를 말한다.

• 특정 순간의 신호 값이다전압(Voltage), 전류(amperes), 전력(watts)

 


그림 38위상과 주파수는 같지만 진폭이 서로 다른 두 신호

 

 


그림 39진폭

 

 


② 주기(period)와 주파수(frequency)

• 주기(T): 하나의 사이클을 완성하는데 필요한 시간(초 단위)

• 주파수(F): 주기의 역수(1/t), 1초에 완성되는 주기의 횟수 or 1초 동안 생성되는 신호 주기의 수

• 단위는 HZ(cycle/second, 헤르츠이다.

• F(주파수) = 1 / T(주기), T(주기) = 1 / F(주파수)

 




 
주파수는 시간에 대한 신호의 변화율이다짧은 기간내의 변화는 높은 주파수를 의미하며긴 기간에 걸친 변화는 낮은 주파수를 의미한다.



 

그림 40주기(Period)와 주파수(Frequency) 관계

 



 

③ 위상(phase)

• 임의의 시간에서 반송파 사이클의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한다단위는 °(degree, 이다.

• 시간 0시에 대한 파형의 상대적인 위치를 말한다.

• 시간축을 따라 앞뒤로 이동될 수 있는 파형에서 그 이동된 양을 말한다.

• 첫 사이클의 상태를 표시한다.


그림  41위상간의 관계

 

 

4) 주파수 대역의 종류

① 음성: 300 ~ 3,400Hz

② HF(High Frequency) : 3 ~ 30MHz

③ VHF(Very High Frequency): 30 ~ 300MHz

④ UHF(Ultra High Frequency): 300 ~ 3000MHz

⑤ SHF(Super High Frequency): 3,000 ~ 30,000MHz

 


5) 대역폭(Bandwidth)

복합신호의 대역폭은 신호에 포함된 최고 주파수와 최저 주파수 사이의 차이를 말한다.


그림  42주기와 비주기 복합 신호의 대역폭

'정보처리기사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08. 정보 전송 방식  (0) 2017.08.02
07. 디지털신호  (0) 2017.08.02
05. DTE/DCE 접속 규격  (0) 2017.08.02
04. 정보통신의 구성요소  (0) 2017.08.02
03. 통신 회선  (0) 2017.08.02





(1) 접속 규격 표준안


1)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 부문)

① 시리즈

• 공중전화 교환망(PSTN)을 통한 DTE/DCE 접속 규격을 말한다.

• V.24: 기능적 절차적 조건에 대한 규정이다.

ü RTS: 송신 요청 신호

ü CTS: 송신 준비 완료

• V.28: 전기적 조건에 대한 규정이다.

ü 현재 장비의 사용 전압 등에 대한 규정

② 시리즈

• 공중 데이터 교환망(PSDN)을 통한 DTE/DCE 접속 규격을 말한다.

•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개발된 신규 터미널 인터페이스이다.

• X.20: 비동기식 전송을 위한 DTE/DCE 접속 규격을 말한다.

• X.21: 동기식 전송을 위한 DTE/DCE 접속 규격을 말한다.

• X.25: 패킷 전송을 위한 DTE/DCE 접속 규격을 말한다.

ü 패킷 전송 방식은 현재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2) EIA(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 전자공업협회)

① RS-232C

• 공중전화 교환망(PSTN)을 통한 DTE/DCE 접속 규격을 말한다.

• DTE/DCE의 물리적전기적 접속 규격을 말한다.

• 기본적 모뎀의 연결 방식이지만 프린터마우스 등 외부장치의 접속규격으로도 사용한다.

• 9pin, 15pin, 25pin 규격이 있다.

• 2번핀은 송신을 담당하고 3번핀은 수신을 담당한다.

• ISO2110, V.24, V.28을 사용하는 접속 규격이다.

② RS-449

• 고속 데이터 통신을 위한 DTE/DCE 접속 규격을 말한다.

 

3) ISO(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① ISO 2110

• 공중전화 교환망(PSTN)을 통한 DTE/DCE 접속 규격을 말한다.

• 주로 기계적 조건에 대한 규정이다.

 


(2) PSTN과 PSDN


1)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DTE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DCE(신호변환장치)를 이용해야 한다만약 DCE가 공중전화 교환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과 연결이 된 경우에는 모뎀(Modem)이 DCE가 되며공중데이터 교환망(PSDN: Public Switched Data Network) 과 연결이 될 경우에는 DCE는 CSU/DSU가 될 수 있다.

 

그림  22. 은 공중전화 교환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을 이용하여 통신을 할 경우에 구성되는 DTE와 DCE간의 구성도이다전화선(아날로그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DCE는 모뎀으로 구성되었으며, DTE와 DCE간의 접속 규격으로는 RS-232를 사용한다.

 

그림  23. DTE와 DCE(Modem) 구성

 

 

2) PSDN(Public Switched Data Network)

그림  SEQ 그림 24.은 공중데이터 교환망(PSDN: Public Switched Data Network)을 이용하여 통신을 할 경우에 구성되는 DTE와 DCE간의 구성도이다데이터 전송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DCE는 CSU 또는 DSU로 구성되었다.

 

그림  24. DTE와 DCE(CSU/DSU) 구성

 

모뎀(Modem) CSU(Channel Service Unit)/DSU(Data Service Unit)의 차이점은 모뎀은 디지털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복조 하는데 반해서 CSU/DSU는 디지털을 디지털 신호로 변·복조한다.

 


(3) RS-232C


1) 데이터 회선종단장치(신호변환장치, DCE)와 단말장치(터미널, DTE) 사이의 물리적 전기적 접속규격이다.

2) 25(PIN)으로 구성된 커넥터를 말한다.

3) 주요 핀의 기능

② DCD(Data Carrier Detect) : DCE가 선로 쪽으로부터 감지할 수 있는 크기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음을 DTE에 통보한다.

③ FG(Frame Ground): 보호용 접지 회로.

④ TXD(Transmitted Data): 송신 데이터

⑤ RXD(Received Data): 수신 데이터

⑥ RTS(Request To Send): 송신 요청

⑦ CTS(Clear To Send): 송신 준비 완료

⑧ DSR(Data Set Ready): DCE 정상 상태

⑨ SG(Signal Ground): 신호 접지

⑩ DTR(Data Terminal Ready): DTE 정상 상태

⑪ RI(Ring Indicator): 링 감지 신호

'정보처리기사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 디지털신호  (0) 2017.08.02
06. 아날로그 신호  (0) 2017.08.02
04. 정보통신의 구성요소  (0) 2017.08.02
03. 통신 회선  (0) 2017.08.02
02.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기본  (0) 2017.08.02




제1항 정보통신의 구성요소


그림11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성

 


(1) 단말장치(DTE: Data Terminal Equipment)

1) 개념

① 최종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② 통신 시스템과 사용자의 접점에 위치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처리된 결과를 출력하는 기능을 하는 장치를 말한다.

③ PC나 CRT뿐만 아니라 컴퓨터에 연결되는 일반적인 입출력 장치를 의미한다.

 

2) 구성


그림12. DTE 구성

 

① 입·출력장치

• 입력된 데이터를 2진 신호로 변환하고처리된 데이터를 문자숫자영상의 형태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진다.

② 전송제어장치

• 통신망에 접속된 컴퓨터와 단말장치간에 효율적이고 원활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제어기능과 방식을 말한다.

 


(2) 신호변환장치(DCE: Data Circuit Equipment)

1) 개념

① 컴퓨터나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통신회선에 적합한 신호로 변경하거나그 반대의 기능을 수행한다.

② 다양한 형태의 정보(음성데이터화상 비디오 등)는 적합한 신호로 변환되어 송신된다.

 

2) 아날로그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

① 전화기는 아날로그 데이터(음성)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장치이다.

② 전화기의 송화기는 음성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켜주는 장치이다.

③ 전화기의 수화기는 전기적 에너지를 다시 음성 에너지로 변화시켜주는 장치이다.

 

3)디지털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

① 원격지에서 서로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해서는 생성된 정보가 정보의 변환즉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송신된다.

② 여러 전압의 값을 가지면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아날로그 신호라고 하며미리 정해진 전압 값(유한 개)만 갖는 것을 디지털 신호라고 한다.

 

그림13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



 

③ 모뎀(Modem)은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전기적 신호로 변경하여 전송(변조:modulation) 하거나 아날로그 형태의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복조:demodulation) 하는 장치이다.

 

그림14모뎀을 이용한 신호 변환


 

4)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

① 코덱(CODEC)은 아날로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 형태로 변환시키고 또 이러한 디지털 형태를 원래의 아날로그 데이터로 복구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그림15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② 펄스코드변조(PCM: Pulse Code Modulation)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변환한다아날로그 정보를 표본화양자화부호화하는 과정을 통해 디지털 신호(펄스 부호)로 변환하고 전송하고이를 다시 받아 원래의 아날로그 정보로 복구시키는 것이다.

 

그림16. PCM 과정



 

③ 이 방식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통신 장비로는 디지털 망에 사용하는 회선 종단 장치(DCE)인 디지털 서비스 유닛(DSU)이 있다잡음에 강하기 때문에 행성의 우주 탐사선 영상 전송위성 텔레비전의 음악 프로 등 무선 통신에 이용되고 있고 앞으로도 활용 분야도 클 것으로 전망된다.

 

5) 디지털 신호와 디지털 신호

① 디지털 망을 이용할 경우에는 신호의 형식을 바꿀 필요는 없고단지 원거리로 전송할 수 있도록 신호의 레벨만 높여주면 된다.

② 디지털 회선을 통해 디지털 데이터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 단극성(unipolar)의 신호를 양극성(bipolar)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를 전송해야 한다.

③ 수신측에서는 양극성(bipolar) 신호를 단극성(unipolar) 신호로 변환해야 한다.

 

그림17. DSU를 이용한 신호 변환

'정보처리기사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아날로그 신호  (0) 2017.08.02
05. DTE/DCE 접속 규격  (0) 2017.08.02
03. 통신 회선  (0) 2017.08.02
02.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기본  (0) 2017.08.02
01. 데이터 통신의 개요  (0) 2017.08.02





통신회선을 유도매체와 비유도 매체로 분류할 수 있다유도매체는 유선 통신을 말하며비유도 매체는 무선통신을 말한다.

 

그림 4전송매체의 종류

 


제1항 유도매체

(1) 꼬임쌍선(Twisted-Pair Cable)

Twisted-Pair Cable은 두 줄의 동선을 꼬아 하나의 도선에 피복한 방식을 일컬으며 외부로부터 오는 전자파 장애를 억제하는 것이 목적입니다실드 처리 유무에 따라서 비차폐선(Unshielded Twisted-Pair) 과 차폐선(Shielded Twisted-Pair)로 구분합니다.

 

그림5비차폐 대 차폐 꼬임쌍선

 


 

1)  UTP(Unshielded Twisted-Pair, 비차폐선)

두 선간의 전자기 유도를 줄이기 위하여 서로 꼬여져 있는 케이블이며 제품 전선과 피복만으로 구성되어 있다보통 일반적인 랜(LAN) 케이블에 사용된다.


그림6. UTP 케이블

 


2) STP(Shielded Twisted-Pair,차폐선)

쉴드는 연선으로 된 케이블 겉에 외부 피복 또는 차폐재가 추가되는 것을 말한다이것은 외부의 노이즈를 차단하거나 전기적 신호의 간섭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다.


그림7. STP 케이블

 

 

 

(2)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동축 케이블은 아날로그와 디지털 신호 모두를 전송할 수 있는 매체로써 CATV에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사용하고 근거리 통신망에서는 디지털 신호를 사용합니다또한 동축 케이블은 10Mbps 이상의 정보 전송량을 갖는데 중앙의 구리선에 흐르는 전기신호는 그것을 싸고 있는 외부 구리망 때문에 외부의 전기적 간섭을 적게 받고전력 손실이 적어서 고속 통신 선로로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그림8동축케이블

 


(3)광섬위 케이블(Optical Fiber)

빛 신호를 전달하는 가느다란 유리 또는 섬유의 일종인 광섬유를 여러 가닥 묶어서 케이블 형태로 만든 것이다.

 


그림9광섬유 케이블


 

제2항 비유도 매체

 


그림10비유도 매체의 종류

 

(1)라디오파(Radio wave)

통신 장비의 이동이 빈번하고 통신 회선을 이용하기 어려운 지역간의 통신에 이용하도록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는 방식을 말하며주로 TV나 휴대폰 등의 음성 전송에 사용된다.

 

(2) 위성 마이크로파(Microwave)

지상에서 쏘아 올린 마이크로 주파수를 통신 위성을 통해 변환 증폭한 후 다른 주파수로 지상에 송신하는 방식으로 위성 통신에 사용된다.

1) 특징

① 적도면 상공 약 35,800Km 정도 높이에 위치한다.

② 위성 통신 시스템은 통신위성지구국채널로 구성된다.

③ 대역폭이 넓어서 고속∙대용량 통신이 가능하고 통신 비용이 저렴하다.

④ 데이터 전송 시 반드시 통신위성을 거쳐야 하므로 전송 지연 시간이 길다.

 

'정보처리기사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아날로그 신호  (0) 2017.08.02
05. DTE/DCE 접속 규격  (0) 2017.08.02
04. 정보통신의 구성요소  (0) 2017.08.02
02.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기본  (0) 2017.08.02
01. 데이터 통신의 개요  (0) 2017.08.02





제1항       통신의 3대요소

1)    정보원(Source)

  정보를 처리하여 전송하는 장치를 말한다.

2)    수신원(Destination)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를 말한다.

3)    전송매체(Transmission Media)

  정보원과 수신원을 연결하는 통신회선을 말한다

 

0.1 정보통신의 3대요소

 

제2항       데이터 통신 시스템(Data Communication System)


표 0.2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기본 구성

 

1)    개념

  지리적으로 원거리에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최종 사용자 간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종 장치 및 프로그램들의 집합을 말한다.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데이터 전송계와 데이터 처리계로 구분된다.

 

2)    데이터 전송계

정보의 이동(전송)을 담당한다.


0.3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기본 구성

 


  단말장치(DTE: Data Terminal Equipment)

   통신 시스템과 사용자의 접점에 위치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처리된 결과를 출력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이다.

   입출력 제어 및 송∙수신 제어기능과 저장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전송회선

   전송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로를 말한다.

   신호변환장치(DCE: Data Circuit Equipment) : 단말 장치와 통신 회선 사이에서 적합한 신호나 데이터로 변환시켜주는 장치로서 데이터 회선 종단 장치라고도 하며, MODEM, CODEC, DSU 등이 있다.

   통신회선데이터가 실질적으로 전송되는 선로로서꼬임선동축케이블광섬유 케이블 등의 전송 매체가 있다.

 

  통신제어장치(CCU: Communication Control Unit)

 

   데이터 전송회선과 컴퓨터를 연결하는 장치로써전송 오류 검출회선 감시등과 같은 통신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정보처리기사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아날로그 신호  (0) 2017.08.02
05. DTE/DCE 접속 규격  (0) 2017.08.02
04. 정보통신의 구성요소  (0) 2017.08.02
03. 통신 회선  (0) 2017.08.02
01. 데이터 통신의 개요  (0) 2017.08.02





제1항       데이터와 정보

1)    데이터(Data)

  컴퓨터 분야에서의 데이터는 옮기거나 처리하기에 좀더 편리한 형태로 바뀌어져 있는 정보를 말한다오늘날의 컴퓨터나 전송매체에 관련하여 데이터는 바이너리나 디지털 형태로 변환되어 있는 정보를 말한다.

  통신에서 데이터는 종종 아날로그 정보(예를 들어 전화를 통해 전달되는 음성 등)와 구별하여 특히 디지털 형태로 변화시킨 정보만을 의미하는 경우가 있다.

  현실 세계를 단순히 관찰하거나 측정하여 수집하고 생산한 사실이나 측정치를 말한다.

  어떤 현상을 표현하나 의미를 부여할 수 없는 상태

 

2)    정보(Information)

  데이터가 현실 세계로부터 단순한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서 수집한 사실이나 값을 의미하는데 반하여 어떤 상황에 관한 의사 결정을 할 수 있게 하는 지식으로서 데이터의 유효한 해석이나 데이터 상호간의 관계를 말한다따라서 정보는 데이터를 처리 가공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3)    정보화(Informationization)

  정보를 생산하거나 유통 또는 활용하여 사회 각 분야의 활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그러한 활동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것을 말한다생산과 처리축적유통공급에 관련된 기술이 발달하고 공장이나 사무실에 전자 정보 기기가 도입되어 사무 자동화가 이루어지고생산 기술이나 경영 전략에 정보의 활용이 활발하게 진행된 상태이다.

4)    데이터와 정보의 진화과정

데이터(Data) – 정보(Information) – 지식(Knowledge) – 지능(Intelligence)

 

제2항       정보통신과 데이터통신

1)    정보통신(Information Communication)

  개념

   컴퓨터와 통신기술의 결합에 의하여 통신 처리 기능은 물론이고 정보처리 기능에 정보의 변환저장 과정이 추가된 형태의 통신을 말한다.

   원격지의 컴퓨터와 컴퓨터 또는 단말기와 컴퓨터를 통신 회선으로 연결하여 정보나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특징

   정보통신은 전송속도가 빨라 다량의 정보를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다.

   정보통신은 전송거리나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에러 제어 방식을 채택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여준다.

 

2)    정보통신의 발전과정

  최초의 통신

   몸동작이나 언어각종 물리적 도구를 이용했다.

   정보를 연기나 소리새 등을 이용했다.

 

  전신 (1세대)

   전신은 최초의 전기 통신이다.

   1837년 미국의 모스가 발명한 방식으로 유선으로 연결된 두 지점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기적 펄스 형태로 전송했다.

   1844년 워싱턴과 볼티모어 사이에서 모스 부호를 사용해 처음으로 통신했다.

 

  전화 (2세대)

   전화는 1876년 미국의 그레이엄 벨이 최초로 발명했다.

   1878년에 에디슨이 탄소식 전화기를 개발했다.

   탄소식 전화기의 원리는 송화기에서 사람의 음성을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 후 이것을 다시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여 수화기로 전달하며수화기에서는 전기적 에너지를 다시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한 뒤 사람의 음성으로 변환한다.

 

  데이터통신 (3세대)

초기의 데이터 통신은 주로 컴퓨터와 원거리에 설치된 단말기를 통신회선으로 연결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1946년 세계 최초의 전자계산기 애니악(ENIAC)을 개발했다.

   1950년 사무처리에 전자계산기를 도입했다.

   1958년 세계 최초의 정보통신 시스템 SAGE(Semi-Automatic Ground Environment)가 개발되었다미국 공군에 설치되었으며미국과 캐나다를 포함하는 북미지역의 비행물체에 대한 조기경보시스템이다. SAGE는 북미 지역에 분산되어 있는 레이더를 중앙관제센터의 컴퓨터와 통신회선을 사용하여 연결하고각 지역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관제센터의 컴퓨터로 전송하고 처리하여 적 비행기나 미사일등의 공격이 탐지되면 이를 요격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1963년 아메리카 항공사의 좌석예약시스템인 SABRE가 개발되었으며데이터 통신이 경영에 도입된 최초의 사례이다.

   1963년 미국의 메사추세츠 공과대학에서는 CTSS(Compatible Time Sharing System)이라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여러 사용자가 대형 컴퓨터를 공유하여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정보통신 (4세대)

자원등을 공유하고 통신회선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비용을 절감하려는 목적에서 시작한 통신 서비스이자 체계를 말하며통신기술과 컴퓨터기술을 융합한 형태이다.

   1968년 MULTICS라는 대규모의 시분할시스템이 발표되었다. MULTICS는 대형 컴퓨터와 사용자가 통신회선을 사용하여 연결하는 본격적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1969년 세계 최초의 패킷 교환망인 ARPANET(Advanced Research Project Agency Network) 통신망 개발되었다미국 국방성에서 개발한 ARPA 네트워크는 종래의 데이터 통신에서 강조한 컴퓨터의 공동 이용보다는 통신 네트워크의 개념을 강조한 컴퓨터 네트워크이다데이터 통신이 컴퓨터와 단말기기간에 전화선을 사용한 연결이 주된 목적이지만컴퓨터 네트워크는 컴퓨터 상호간의 통신을 강조한 것으로써 분산된 컴퓨터 자원의 공동이용통신회선의 효율적인 사용 및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설계된 새로운 형태의 통신 네트워크이다.

   1970년 미국 하와이 대학에서 설치한 최초의 라디오 패킷 통신 방식을 적용한 ALOHA(Additive Links On-line Hawaii Area)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1974년 IBM에서는 자사의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하여 SNA(System Network Architecture)라는 프로토콜을 발표하였다이후 대부분의 컴퓨터 제조회사가 고유의 네트워크 아키텍쳐를 개발하였다국제표준화기구 ISO에서는 서로 다른 구조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일하기 위한 방안으로 OSI라는 프로토콜을 1978년부터 10년 기간 동안에 개발하기로 결정하였다.

   1975년 상업용 패킷 교환망 TELENET, TYMNET등이 서비스를 시작하였으며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네트워크는 전화와 같은 기본적인 통신에 비해 다양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므로 부가가치통신망(VAN) 이라고 불린다.

   1980년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VAN, ISDN을 개발했다.

   1990년 위성통신을 이용한 데이터통신과 이동통신인터넷 보급이 시작됐다.

 

3) 데이터 통신(Data Communication)

  개념

   정보와 기계 사이에 2진 형태로 표현된 디지털 정보를 송∙수신하고 처리한다

   정보처리장치 등에 의하여 처리된 정보를 기계 장치간의 통신을 말한다.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특징

   고속·고품질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고성능의 에러 제어 방식을 사용하여 시스템 신뢰도가 높다.

   대형 컴퓨터와 대용량 파일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다.

   분산 처리 방법을 활용한다.

   원격지의 정보처리기기 사이의 효율적으로 정보를 교환한다.

 

4) 정보통신과 데이터 통신의 차이

  일반적으로 정보통신은 상호간에 정보를 교환하는 모든 행위를 말하는 것으로 광범위한 개념이며이에 반해 데이터통신은 컴퓨터에서 처리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은 정보통신의 범주에 포함되는 데이터 통신을 정보통신이라고도 하기 때문에 데이터통신과 정보통신은 같은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정보처리기사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아날로그 신호  (0) 2017.08.02
05. DTE/DCE 접속 규격  (0) 2017.08.02
04. 정보통신의 구성요소  (0) 2017.08.02
03. 통신 회선  (0) 2017.08.02
02.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기본  (0) 2017.08.02





억장치는 컴퓨터에서 자료를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히 보존하는 장치를 말한다. 컴퓨터의 기억장치는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로 나눌수 있다. 메모리(memory)는 종종 '기억장치' 라는 용어와 혼용되기도 하지만, 대체로 주기억장치를 말하며 특히 램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주기억장치

▷ 컴퓨터내에서 명령어와 데이터들을 기억하는 저장장치
▷ 고속 액세스가 가능하나 가격이 높고 저장 용량의 한계
▷ 영구 저장 능력이 없어 프로그램 실행 중 일시적으로 저장
▷ 중앙처리장치와 직접 데이터를 교환
▷ 워드(Word) 단위 접근 (2byte, 4byte, 8byte)

보조기억장치

▷ 중앙처리장치와 직접적인 자료 교환이 불가능해서 주기억장치를 통함
▷ 대량의 자료를 보관하는 장치
▷ 주기억장치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용량이 크다
▷ 주기억장치에 비해 전송속도는 느리다
▷ 블록(Block) 단위 접근

캐시(Cache) 메모리

앙처리장치의 속도와 주기억장치의 속도차가 클때 명령어의 수행속도를 중앙처리장치의 속도와 비슷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메모리이다.

연관기억장치

억장치에서 자료를 찾을 때 주소에 의해 접근하지 않고 기억된 내용의 일부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는 기억장치로 CAM(Content Addressable Memory)라고도 한다. 

복수모듈기억장치

독자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억장치 모듈을 여러개 가진 기억장치

메모리 인터리빙(Memory Interleaving)
여러개의 독립된 모듈로 이루어진 복수 모듈 메모리와 CPU간의 주소 버스가 한개로만 구성되어 있으면 같은 시각에 CPU로부터 여러 모듈들로 동시에 주소를 전달할 수 없기 때문에 CPU가 각 모듈로 전송할 주소를 교대로 배치한 후 차례대로 전송하여 여러 모듈을 병행 접근하는 기법을 말한다.

가상기억장치

억용량이 작은 주기억장치를 마치 큰 용량을 가진것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운영체제의 메모리 운영기법을 말한다.

전원 단절 시 내용 소멸 여부

휘발성 메모리 (Volatile memory)

발성 메모리는 지속적인 전력 공급을 요구하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와는 달리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전기를 요구하는 컴퓨터 메모리를 가리킨다. 동적램(DRAM), 정적램(SRAM)을 포함하여 일반 목적의 랜덤 엑세스 메모리(RAM)의 대부분은 휘발성이다.

비휘발성 메모리 (Nonvolatile memory)

휘발성 메모리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컴퓨터 메모리이다. 비휘발성 메모리의 종류에는 롬, 플래시 메모리,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장치(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디스켓 드라이브, 마그네틱 테이프), 광디스크 드라이브 같은 것들이 있다.

RAM (Random Access Memory)

자유롭게 읽고 쓸수 있는 기억장치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 전원이 공급된 상태이면 기억된 정보를 계속 유지
▷ 집적도가 낮아서 용량이 적으며 소모 전력이 높다
▷ 주로 캐쉬 메모리에 사용
▷ 비트당 가격이 비쌈

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계속해서 재충전(refresh) 해 주어야만 기억된 정보를 유지
▷ 기억 소자가 C_MOS로 구성되어 집적도가 매우 높다. 즉 기억 용량이 매우 큼
▷ SRAM에 비해 접근 속도가 느림
▷ 주로 컴퓨터의 주기억장치로 사용
▷ 비트당 가격이 싸다
DRAM의 리프레시 (Refresh)

지털 정보는 이진수인 '0'과 '1'로 표현되며, '0'과 '1'을 나타내는 한 개의 정보 단위를 비트라고 합니다. DRAM은 이 비트를 집적회로 안의 각기 분리된 캐패시터에 담긴 전하량에 의해 기록하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캐패시터의 전하가 빠져나가면서 기억된 정보를 잃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억장치의 내용을 주기적으로 리프레시(Refresh)시켜야 한다.

ROM (Read Only Memory)

ROM은 공장에서 출하될 때에 이미 프로그램을 내장시켜서 내보내기 때문에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구워 넣을 수가 없으며, 대량 생산일 때에 가격이 저렴하다. 전원이 꺼져도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RAM은 OS을 실행하는 용도로 쓰이며, RAM은 컴퓨터가 부팅시 주로 BIOS, 자기진단 프로그그램(POST) 같이 변경 가능성이 적은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기억시키는데 사용된다.

ROM의 종류

Mask ROM

▷ 반도체 공장에서 내용이 기입됨
▷ 대용량 메모리를 내장한 제품 중 프로그램 되어 있는 ROM

PROM

▷ 사용자가 한번만 내용을 기입을 할 수 있으나, 지울 수는 없다.

EPROM

이미 기억된 내용을 자외선을 이용하여 지우고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EEPROM

▷ 이미 기억된 내용을 전자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지우고,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 전원이 중단되어도 내용이 지워지지 않으며, 전기적으로 삭제하고 다시 쓸수도 있는 기억장치

Flash Memory

래스 메모리에는 셀을 연결한 논리 구조에 따라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대표적으로 셀을 병렬 구조로 연결한 것이 NOR Flash이고, 셀을 직렬 구조로 연결한 것이 바로 NAND Flash이다. 둘 간의 차이점은 많이 있지만, 가장 큰 차이는 셀을 병렬로 연결했느냐? 아니면 직렬로 연결했느냐는 것이다.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란?

플래시는 사전적으로 "일순간" 또는 "빛난다" 라는 의미로 되어 있다. 플래시 메모리의 플래시는 "일순간"의 의미와 일치한다. 즉 일순간에 데이터를 소거한다. 또는 일순간에 데이터를 읽고 쓴다. 액세스 속도가 빠르다 등의 의미를 포함한다.

전원을 꺼도 데이터를 보존하는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이다.

플래시 메모리는 기존의 EPROM이 UV(자외선)을 이용하여 부유 게이트로부터 전자들을 이동시키던 방식을 전기적인 방식으로 전환시킨 것으로부터 그 시작의 동기를 볼수 있다.

한번에 한 비이트씩 (블록 또는 페이지)을 일시에 소거하여 보다 빠른 소거동작을 위하여 플래시 메모리가 제안되었다.

래시 메모리가 개발되어진 다른 이유는 컴퓨터 사용장소 범위의 확대이다. 즉 휴대기기의 확대에 동반하여 소형화의 필요성이 높아진 것이다. 소형화를 위해서는 기억매체의 소형화와 기억매체의 소전력화가 포인트이다. 그래서 자기 메모리인 하드디스크 및 플로피 디스크를 필요로 하지 않는 기억매체로서 플래시 메모리가 주목된 것이다.

도체 메모리가 자기메모리를 모두 교체할 수 없었던 이유는자기메모리의 비용이 싸고, 비휘발성 메모리인 점이었다. 종래 EEPROM(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 즉, 반도체 비휘발성 메모리는 1비트당 2개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져 있고, 1비트당 고유면적이 크기 때문에 비용이 높아 자기메모리를 완전히 교첼할 수 없었다.

래시 메모리는 메모리 셀이 1개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져 셀 면적이 적은 반면 자외선으로 일괄 소거해야 하는 EPROM과 전기적 소거가 가능한 반면 셀이 2개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져 셀 면적이 큰 단점을 지닌 EEPROM의 장점을 조합하여 1개의 트랜지스터로 EPROM의 프로그램 입력방법과 EEPROM의 소거방법을 수행토록 만든 소자이며, 정확한 명칭은 Flash EEPROM이다.

플래시 메모리의 특징
▷ 전원이 없어도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는 비휘발성이다.
▷ 전기적으로 데이터의 변경이 가능하다.
▷ DRAM보다 낮은 bit cost를 실현할 수 있다.
▷ 소거를 블록/섹터 단위로 수행할 수 있다.
▷ 프로그램시 페이지(Page) 혹은 Multiple Bytes단위로 할수 있다.
CMOS 와 BIOS 구분

CMOS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시모스)는 집적회로의 한 종류로, 마이크로프로세서나 SRAM등의 디지털 회로를 구성하는데 이용된다.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 라는 용어로 통용된다. 달리 말하면 광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집적회로를 만들기 위한 기술중 하나이다.

PC의 메인 보드를 보면 수은 건전지 옆에 CMOS 칩(RTC/NVRAM)이 존재한다. CMOS 칩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CMOS 방식으로 만들어진 칩이기 때문이다. 수은 건전지는 CMOS 배터리라고 하는데 시스템이 꺼진 경우에도 RTC/NVRAM의 내용을 유지시키기 위해서이다.

RTC(Real-Time Clock)

재의 시간을 유지시키는 컴퓨터 시계이다. RTC는 정확한 시간을 유지해야 하는 모든 전자 기기에 존재한다. RTC는 컴퓨터의 전원이 나가도 수은 건전지의 전원을 통하여 디지털 회로의 카운터를 이용하여 시간을 셀수 있다. 만약 수은 건전지가 방전될 경우에는 시간이 초기화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NV-RAM(Non-Volatile RAM)

RAM은 전원이 차단되면 저장된 모든 데이터가 사라지는게 특징이다. NV-RAM은 전원이 차단되어도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는 비휘발성 RAM입니다. 이게 말장난일수도 있는데, 이게 가능한 이유는 외부에 수은 건전지가 있어서 전원이 차단되어도 데이터를 계속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NV-RAM의 또다른 형태는 EEPROM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전원이 차단되기 전에 EEPROM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원이 인가되면 EEPROM에서 데이터를 읽어서 NV-RAM에 적재하는 방식입니다. NV-RAM의 용도는 컴퓨터 부팅에 필요한 BIOS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

웨어(Firmware)의 한 종류로서 IBM 호환 컴퓨터의 경우에 전원이 공급되면 시작되는 부팅 절차에서 하드웨어 초기화를 수행하고, 운영체제나 응용 프로그램에게 런타임 서비스를 제공한다. BIOS 펌웨어는 ROM에 저장되어 있어서 전원이 인가되면 실행이 시작되는 최초의 프로그램이다. 

BIOS는 하드웨어 부품을 초기화하고 검사하는 역할, 부트로더 또는 대용량 장치에 저장된 운영체제를 RAM으로 읽어오는 기능을 수행한다.    

리가 혼동하지 말아야 하는 사항은 BIOS와 CMOS(RTC/NV-RAM)의 차이점이다. BIOS는 ROM에 저장되어 있는 펌웨어 즉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말하며, 컴퓨터에 전원이 인가되면 실행되는 최초의 프로그램을 말한다. 이에 반해 CMOS는 BIOS가 실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NV-RAM을 말하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CMOS 설정화면' 또는 'BIOS 설정' 을 말할때 CMOS와 BIOS에 대한 차이점을 연상할수 있는 내공을 키워야 할 것이다.


'정보처리기사 > 전자계산기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명령 실행과 제어  (0) 2017.08.02
05. 프로세서 - 명령어  (0) 2017.08.02
04. 프로세서 - 중앙처리장치 구성요소  (0) 2017.08.02
03. 순서논리회로  (0) 2017.08.02
02. 조합논리회로  (0) 2017.08.02





제1절 명령 실행과 제어
제1항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1) 마이크로 오퍼레이션과 제어장치의 관계
1) 제어장치는 CPU의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이다즉 제어장치는 레지스터 상호간에 데이터를 전송한다거나 ALU에서 임의의 지정된 연산을 수행시킨다거나 혹은 기억장치와 입출력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제어장치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① 명령어의 해독
② 명령어 실행에 필요한 제어 신호의 발생
 

 
(2) 마이크로 명령어
1) 프로그램은 일련의 명령어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2) 하나의 명령어는 Fetch, Indirect, Execute, Interrupt cycle 등의 부-사이클로 구성된다
3) 명령어의 각 부사이클은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명령어(micro instruction)로 이루어져 있다.

 
(3)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micro operation: 마이크로 동작)
1)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이란 레지스터 혹은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에 작용되는 기본 동작이다. CPU의 각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일련의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이 필요하며각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한 클럭펄스 동안 수행된다
2)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의 종류
① 전송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 레지스터 전송 : R2  R1

• 메모리 전송 : MDR  M[MAR] or M[MAR]  MDR

 
② 산술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 R0 ← R1 + R2
 
③ 논리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 R0 ← R1 ^ R2
 
④ 시프트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 R0  shl R1 or R0 ← shr R1
 

마이크로로 오퍼레이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마이크로로 오퍼레이션은 CPU 내의 레지스터들과 연산 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프로그램에 의한 명령의 수행은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의 수행으로 이루어진다.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중에 CPU 내부의 연산 레지스터인덱스 레지스터는 프로그램으로 레지스터의 내용을 변경할 수 없다.
마이크로로 오퍼레이션은 실행될 때마다 CPU 내부의 상태는 변하게 된다.

다음음 중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어디에 기준을 두고서 실행되나?
 
Flag
Clock
Memory
RAM

중앙연산 처리장치에서 micro-operation이 순서적으로 일어나게 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
 
스위치 (switch)
레지스터 (register)
누산기 (accumulator)
제어신호 (control signal)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CPU내의 레지스터와 플래그의 상태 변환을 일으키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fetch
program operation
micro operation
count operation

 
제2항 명령어 사이클

(1) CPU에서 한 개의 명령어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처리과정을 명령어 사이클 (instruction cycle)이라고 한다명령어 사이클은 다음 4단계의 부사이클로 이루어진다.
1) 페치 사이클
2) 간접 사이클
3) 실행 사이클
4) 인터럽트 사이클
(2) 명령어 사이클을 상기 4단계의 부사이클로 구분할 때는 이들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일반적으로 F와 플립플롭의 두 비트를 사용한다.

F
R
부 사이클
0
0
Fetch cycle
0
1
Indirect cycle
1
0
Execute cycle
1
1
Interrupt cycle

 
(3) Micro cycle time : 한 개의 Micro operation을 수행에 필요한 시간
 
제3항 Micro cycle time 부여방식
(1) 동기 고정식 (Synchronous fixed)
1) 모든 Micro operation의 동작시간이 같다고 가정하여 CPU clock의 주기를 Micro cycle time과 같도록 정의한 방식이다.
2) 모든 Micro operation 중에서 동작시간이 가장 긴 Micro operation의 동작시간을 Micro cycle time으로 정한다.
3) 동기고정식은 모든 Micro operation의 동작시간이 비슷할 때 유리한 방식이다.
4) 장점제어기의 구현이 단순하다.
5) 단점: CPU의 시간 낭비가 심하다.
 
(2) 동기 가변식 (Synchronous variable)
1) 수행시간이 유사한 Micro operation끼리 그룹을 만들어각 그룹별로 서로 다른 Micro cycle time을 정의하는 방식이다.
2) Micro operation 수행시간이 현저한 차이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3) 동기 고정식에 비해 CPU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지만제어기 구현이 복잡하다.
 
(3) 비동기식 (Asynchronous)
1) 모든 Micro operation에 대하여 서로 다른 Micro cycle time을 정의하는 방식이다.
2) CPU 시간 낭비가 없으니제어기 구현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다음 마이크로 사이클에 대한 내용 중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수행에 필요한 시간을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이라 한다.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중에서 수행 시간이 가장 긴 것을 정의한 방식이 동기 고정식이다.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에 따라서 수행시간을 다르게 하는 것을 동기 가변식이라 한다.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중에서 수행시간의 차이가 큰 것을 약 30개로 구분해서 사용한다.

동기 가변식(Synchronous variable) 동작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각각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의 사이클 타임이 현저한 차이가 나타날 때 사용한다.
모든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의 수행 시간이 유사한 경우에 사용된다.
중앙처리장치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에 대하여 서로 다른 사이클을 정의할 수 있다.
F
R
부 사이클
0
0
Fetch cycle
0
1
Indirect cycle
1
0
Execute cycle
1
1
Interrupt cycle

 
 
(1) 인출 단계 (Fetch Cycle)

 

T1
MAR ← PC
PC에 있는 번지를 MAR에 전송
T2
MBR  M[MAR], PC  PC+1
ü  메모리에서 MAR이 지정하는 위치의 값을 MBR로 전송
ü  다음에 실행할 명령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PC의 값을 증가시킴
T3
IR  MBR[OP], I ← MBR[I]
ü  명령어의 OPERATION 부분을 명령 레지스터에 전송
ü  명령어의 모드 비트를 플립플롭 I에 전송
T4
 1 or R  1
ü  F(0), R(1)  indirect or F(1), R(0)  execute

 
1) 주기억장치의 지정 장소로부터 명령을 읽어서 중앙처리장치에 가지고 오는 단계
2) 명령의 오퍼레이션(Operation)부를 명령 레지스터(Instruction Register)에 세트시켜 해독시킴
 
(2) 간접 단계 (Indirect Cycle)
1) 인스트럭션의 수행 시 유효 주소를 구하기 위한 상태를 말한다.
2) Fetch 단계에서 해석된 명령의 주소부가 간접주소인 경우 수행된다.
 

T1
MAR  MBR[AD]
MBR에 명령어의 번지부분을 MAR에 전송
T2
MBR ← M[MAR]
MAR이 지정하는 위치의 값을 MBR로 전송
T3
No Operation
동작 없음.
T4
 1 or R ← 0
F(1), R(0)  execute

 
 
(3) 실행 단계 (Execute Cycle)
* ADD, AND 명령어

T1
MAR  MBR[AD]
MBR에 번지부분을 MAR에 전송
T2
MBR ← M[MAR]
MAR이 지정하는 위치의 값을 MBR로 전송
T3
AC  AC + MBR (ADD 명령)
AC  AC AND MBR (AND 명령)
 
T4
← 0 or R ← 1
F(1), R(1)  interrupt or F(0), R(0)  fetch

 
* LDA (Load accumulator) 명령

T1
MAR  MBR[AD]
MBR에 번지부분을 MAR에 전송
T2
MBR ← M[MAR], AC  0
피연산자를 읽음누산기를 클리어 함
T3
AC  AC + MBR 
누산기와 덧셈 연산함
T4
← 0 or R ← 1
F(1), R(1)  interrupt or F(0), R(0)  fetch

 
* STA (Store accumulator) 명령

T1
MAR  MBR[AD]
MBR에 번지부분을 MAR에 전송
T2
MBR ← AC
피연산자를 읽음누산기를 클리어 함
T3
M[MAR]  MBR 
누산기와 덧셈 연산함
T4
← 0 or R ← 1
F(1), R(1)  interrupt or F(0), R(0)  fetch

 
1) 실제로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
2) Execute 단계에서는 Interrupt 요청 신호를 나타내는 플래그 레지스터의 상태변화를 검사하여 Interrupt 상태로 진입할지 아니면 Fetch 단계로 진입할지를 판단한다.
 
(4) 인터럽트 단계 (Interrupt Cycle)
1) 인터럽트는 프로그램 실행 중에 돌발적인 사태에 의해 수행중인 정상적인 처리를 중단하고 요구된 인터럽트를 위한 서비스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2) 복귀 주소를 저장하고제어 순서를 인터럽트 처리 프로그램의 첫 명령으로 옮기는 단계이다.
3) 인터럽트 단계를 마친 후에는 Fetch로 진입한다.

T1
MBR[AD] ← PC, PC  0
ü  PC가 가지고 있는 주소를 MBR의 주소 부분으로 전송
ü  복귀 주소를 저장할 0번지를 PC에 전송
T2
MAR  PC, PC  PC+1
ü  PC가 가지고 있는 값 0번지를 MAR로 전송
ü  인터럽트 처리 루틴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인터럽트 벡터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PC의 값을 증가시킴
T3
M[MAR]  MBR, IEN  0
ü  MBR에 있는 주소를 메모리의 MAR이 가르키는 위치에 저장
ü  인터럽트 단계가 끝날 때까지 다른 인터럽트가 방생하지 않게 IEN에 0을 전송
T4
← 0, R ← 0
ü  F플립플롭에 0을 전송 또는 R플립플롭에 0을 전송
ü  F에 0을 전송하면 F=0, R=0이 되어 Fetch cycle로 천이

 


 

CPU의 명령어 사이클 (instruction cycle) 4단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Fetch cycle
Control cycle
Indirect cycle
Interrupt cycle

CPU가 인스트럭션을 수행하는 순서는?
 
1. 인터럽트 조사 2. 인스트럭션 디코딩 3. 인스트럭션 fetch 4. Operand fetch 5. execution
 
3-1-2-4-5
3-2-4-5-1
2-3-4-5-1
4-3-2-5-1

명령(instruction)이 실행되기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처리되어야 하는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PC  MAR
PC  MBR
PC  CPU
PC  M

기억장치에서 instruction을 읽어서 CPU로 가져오는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interrupt 상태
indirect 상태
execute 상태
fetch 상태

다음의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micro-operation)은 무엇을 수행하는 것인가?
 
MAR  MBR(AD)
MBR  M, ACC  0
ACC  ACC + MBR
 
store ACC
load to ACC
AND to ACC
ADD to ACC

다음과 같은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이 일어나는 상태는?
 
MBR(AD)  PC, PC  0
MAR ← PC, PC ← PC+1
 MBR, IEN  0
 0, R  0
 
fetch
indirect
interrupt
execute

Interrupt cycle에 대한 micro-operation 중에서 관계가 없는 것은?
(, MAR: Memory Address Register, PC: Program Counter, M: Memory, MBR: Memory Buffer Register, IEN: Interrupt Enable 이며, Interrupt Handler 0번지에 저장되어 있다.)
 
MAR  PC, PC  PC +1
MBR  MAR, PC  0
 MBR, IEN  0
GO TO fetch cycle
 

 


'정보처리기사 > 전자계산기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 기억장치  (0) 2017.08.02
05. 프로세서 - 명령어  (0) 2017.08.02
04. 프로세서 - 중앙처리장치 구성요소  (0) 2017.08.02
03. 순서논리회로  (0) 2017.08.02
02. 조합논리회로  (0) 2017.08.02

+ Recent posts